본문 바로가기
화학

금속의 결정 구조

by just-1-minute 2024. 9. 4.
반응형

금속 재료는 금속 결합(metallic bonding)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금속 결합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결합의 방향성이 없다는 점입니다. 이는 결합이 특정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속 원자들은 최인접 원자(coordination number)들의 개수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배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금속의 결정 구조(crystal structure)는 최인접 원자의 개수가 많고, 매우 조밀한 원자 충진(atomic packing)을 가집니다.

 

금속의 결정 구조는 원자구 모델(sphere model)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원자구는 금속 이온(metal ion)을 나타냅니다. 금속 결정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배위수(coordination number)와 원자 충진율(atomic packing factor, APF)입니다. 배위수는 각 금속 원자가 접촉하는 최인접 원자의 개수를 나타내며, 원자 충진율은 단위정(unit cell) 내에서 원자들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다음은 원자 충진율(APF)의 계산 수식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대부분의 금속은 세 가지 주요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들은 면심입방(face-centered cubic, FCC) 구조, 체심입방(body-centered cubic, BCC) 구조, 그리고 육방조밀(hexagonal close-packed, HCP) 구조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구조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각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면심입방 결정 구조(FCC)

면심입방 결정 구조는 대부분의 금속에서 보이는 매우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 금속 원자들은 입방체(cube)의 모서리와 각 면의 중심에 위치합니다. 구리(copper), 알루미늄(aluminum), (silver), (gold)과 같은 금속들이 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면심입방 결정 구조의 모식도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면심입방 구조에서는 입방체의 변(모서리) 길이 a와 원자 반지름 R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이 구조에서는 8개의 모서리 원자와 6개의 면 중심 원자가 하나의 단위정을 이루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단위정당 원자수 N의 계산 수식입니다. 참고로 이 수식은 면심입방 결정 구조와 체심입방 결정 구조에서 쓰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모서리에 위치한 원자들은 8개의 인접한 단위정과 공유되며, 면 중심의 원자들은 인접한 두 단위정과 공유됩니다. 따라서 면심입방 구조의 단위정당 원자수 N = 4입니다.

 

면심입방 구조의 배위수는 12입니다. 이는 각 금속 원자가 12개의 최인접 원자와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구조에서 원자 충진율(APF)은 약 0.74, 금속 결정 구조 중에서 가장 높은 충진율을 자랑합니다. 이 높은 충진율은 금속이 전기적 차폐(shielding)를 최대화하고, 전기적 및 열적 전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체심입방 결정 구조(BCC)

체심입방 결정 구조는 또 다른 일반적인 금속 결정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금속 원자가 입방체의 8개 모서리와 중앙에 위치합니다. 크롬(chromium), (iron), 텅스텐(tungsten)과 같은 금속들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체심입방 결정 구조의 모식도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체심입방 구조에서는 단위정의 변 길이 a와 원자 반지름 R 사이에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체심입방 구조에서는 8개의 모서리 원자와 1개의 중심 원자가 하나의 단위정을 구성합니다. 모서리에 위치한 원자들은 8개의 인접한 단위정과 공유되므로, 단위정당 원자수 N = 2입니다.

 

체심입방 구조의 배위수는 8, 이는 각 체심 원자가 8개의 모서리 원자와 접촉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체심입방 구조는 면심입방 구조보다 배위수가 낮고, 충진율도 낮습니다. 체심입방 구조의 원자 충진율은 약 0.68, 이는 면심입방 구조의 충진율 0.74보다 낮습니다. 이 때문에 체심입방 구조를 가진 금속은 상대적으로 더 가볍고, 덜 조밀한 구조를 가집니다.

 

육방조밀 결정 구조(HCP)

모든 금속이 입방 대칭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육방조밀 결정 구조는 육각형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카드뮴(cadmium), 마그네슘(magnesium), 티타늄(titanium), 아연(zinc)과 같은 금속들이 이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육방조밀 결정 구조의 모식도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육방조밀 구조에서는 각 층이 육각형의 배열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층이 교대로 쌓여 있습니다.

 

육방조밀 구조의 단위정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6개의 육각형을 이루는 원자들과, 그 사이에 위치한 3개의 원자로 구성됩니다. 이때, 상부와 하부의 육각형을 이루는 모서리 원자들은 6개의 인접한 단위정과 공유되며, 각 원자의 1/6만이 단위정에 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육방조밀 구조의 단위정당 원자수 N = 6입니다. 다음 그림은 단위정당 원자수 N의 계산 수식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육방조밀 구조의 배위수는 12, 이는 면심입방 구조와 동일합니다. 또한, 육방조밀 구조의 원자 충진율은 0.74, 면심입방 구조와 같은 충진율을 가집니다. 이는 육방조밀 구조가 매우 조밀하게 배열된 구조임을 나타냅니다.

 

단순입방 결정 구조 (Simple Cubic, SC)

단순입방 결정 구조는 입방체의 모서리에만 원자가 위치하는 구조로,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구조입니다. 플로늄(polonium)과 같은 일부 반금속이 이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단순입방 결정 구조의 모식도입니다.

출처 : 재료과학과 공학

 

단순입방 구조에서는 각 모서리 원자가 8개의 인접한 단위정과 공유되므로, 단위정당 원자수 N= 1입니다.

 

단순 입방 구조의 배위수는 6이며, 원자 충진율은 약 0.52로 매우 낮습니다. 이러한 낮은 충진율 때문에, 단순 입방 구조는 금속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구조입니다. 대신 이 구조는 낮은 밀도를 가진 물질이나, 특정한 결정을 형성하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금속의 결정 구조는 금속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금속의 밀도, 강도, 연성, 전도성 등은 모두 결정 구조에 의해 좌우됩니다. 면심입방 구조와 육방조밀 구조는 높은 충진율과 배위수 덕분에 높은 밀도와 강도를 가지는 반면, 체심입방 구조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밀도와 강도를 가집니다.

 

또한, 금속의 변형(ductility) 능력도 결정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면심입방 구조를 가진 금속은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어, 가공성이 뛰어납니다. 반면, 체심입방 구조를 가진 금속은 변형이 어렵고, 더 단단하지만 취약한 성질을 가집니다.

 

금속의 결정 구조는 금속 재료의 성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면심입방 구조, 체심입방 구조, 그리고 육방조밀 구조는 금속들이 채택하는 대표적인 구조로, 각 구조는 고유한 배위수와 원자 충진율을 가집니다. 이러한 구조들은 금속의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금속 재료를 선택하고 가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속의 결정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금속 재료의 특성과 활용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우리는 금속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산업적 응용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력 및 변형률  (0) 2024.09.06
주조  (1) 2024.09.05
폴리머와 탄화수소  (1) 2024.09.04
고체 재료의 구조와 특성  (0) 2024.09.03
2차 결합의 원리와 일상 속 응용  (3)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