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활용

by just-1-minute 2024. 9. 13.
반응형

활용의 정의

활용이란 동사와 같은 특정 품사가 문장 안에서 어떻게 변형되어 다른 문장 성분으로 활용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기본적으로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등과 같은 품사가 문장 내에서 다른 품사로 변환되며, 이 과정을 통해 그 역할이 달라진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활용이 되더라도 기존 형식을 가진다. , 문장성분을 가진다는 것이다. 활용은 언어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문장의 의미를 더욱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동명사 (V+ing) : 동사(~하다) -> 명사(~하기/~하는 것)

동명사는 동사에 –ing 를 붙여 명사처럼 사용하는 형태이다. 동사의 본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명사의 역할을 하여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등으로 쓰인다.

 

예시 :

동사 : eat (먹다)

동명사 : eating (먹는 것)

Eating noodle makes you fat. (국수를 먹는 것은 너를 살찌우게 만든다.)

 

이 문장에서 eating은 동명사로 사용되어 주어 역할을 한다. 원래 동사였던 eat -ing 형태로 변하여 문장의 명사로 사용된다.

 

2. 분사

분사는 현재분사와 과거분사로 나뉜다. 이 두 분사형은 형용사 역할을 한다.

 

2.1. 현재분사 (V+ing)

 

- 능동 : 동사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하는" 의미를 지닌다.

It is an exciting movie. (그것은 흥미진진한 영화이다.)

여기서 exciting은 영화가 사람들을 흥미롭게 한다는 능동적 의미를 담고 있다.

 

- 진행 : 동작이 현재 진행 중임을 나타내면서 “~하고 있는의미를 지닌다.

The sleeping dog is adorable. (자고 있는 개가 사랑스럽다.)

여기서 Sleeping은 개가 자고 있는 상태를 묘사하며 진행 중인 동작을 의미한다.

 

2.2. 과거분사 (V+ed/pp)

 

- 수동 : 동작이 외부로부터 가해진 경우를 나타내면서 “~의미를 지닌다.

He was bored during the lecture. (그는 강의 중에 지루했다.)

여기서 bored는 누군가나 무언가에 의해 그가 지루하게 된 상태, 즉 지루한 상태를 의미한다.

 

- 완료 : 동작이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면서 “~해버린의미를 지닌다..

The book is written. (그 책은 쓰여졌다.)

여기서 written은 저자에 의해 쓰여져버린 상태 즉, 책이 쓰여서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2.3. 타동사와 자동사의 활용 차이

- 타동사 :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로, 현재분사일 때 능동적인 의미를, 과거분사일 때 수동적인 의미를 가진다.

- 자동사 :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로, 현재분사일 때 진행 중인 동작을, 과거분사일 때는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 2.1, 2.2, 2.3을 종합하여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현재분사(V+ing) 과거분사(V+ed/pp)
타동사 능동(~하는) 수동(~)
자동사 진행(~하고 있는) 완료(~해버린)

 

3. To 부정사 (to+V) : 동사(~하다) -> 명사/형용사/부사

부정형 : not to V

수동형 : to be pp

완료형 : to have pp

To 부정사는 동사를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하게 해준다. 기본적으로 동사의 원형 앞에 to를 붙여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3.1. 명사적 용법 : (~하기/~하는 것)

To 부정사가 명사처럼 사용되어 주어나 목적어 역할을 한다.

 

예시 :

I want to help children. (나는 아이들을 도와주기를 원한다.)

여기서 to help은 명사처럼 사용되어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3.2. 형용사적 용법 : (~하는)

To 부정사가 형용사처럼 사용되어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 역할을 한다.

 

예시 :

She found a club to help children. (그녀는 아이들을 도와주는 동아리를 설립한다.)

여기서 to help club을 수식하며 "도와주는"이라는 의미를 전달한다.

 

3.3. 부사적 용법

To 부정사가 부사처럼 사용되어 문장의 동사를 수식하거나 이유, 결과, 목적 등을 나타낸다.

 

- 목적 : (~하기 위해)

예시 :

He runs to stay healthy. (그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달린다.)

여기서 to stay healthy는 그가 달리는 목적을 설명하는 부사적 용법이다.

 

- 감정의 원인 : (~해서)

예시 :

She was happy to receive the award. (그녀는 상을 받아서 기뻤다.)

여기서 to receive the award는 그녀가 기뻐한 이유를 나타낸다.

 

- 판단의 기준 : (~하기에)

예시 :

This book is easy to read. (이 책은 읽기에 쉽다.)

여기서 to read는 그 책을 읽기에 쉽다는 기준을 나타낸다.

 

- 결과 : (~하다니)

예시 :

She lived to see her grandchildren. (그녀는 손주들을 보게 되었다.)

여기서 to see는 그녀가 결국 손주들을 보게 된 결과를 설명한다.

반응형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형식과 4형식  (1) 2024.10.07
1형식과 2형식  (9) 2024.10.06
구&절, 문장  (1) 2024.10.06
문장 성분  (0) 2024.09.20
8품사  (0) 2024.09.12